중심단어
Renal arteries, injuries
Renal arteries, interventional procedures
임상소견
만성 신부전으로 치료받고 있는 환자로 좌측 신장생검을 시행받은 6시간 후 좌측 옆구리 통증이 있었음.
진단명
Postbiopsy renal bleeding with AV fistula
영상소견
좌측 신동맥 조영술상 신장아래쪽의 신동맥가지에서 조영제가 새면서 주위로 고이는 모습이 보였다. 또한 동맥기 영상에서 하엽간동맥(lower pole interlobar artery)과 이와 연결되는 정맥과 좌신정맥이 동시에 조영되고 있음 (Fig. 1, 2).
Fig. 1
Left renal angiogram shows extravasation of contrast media and an arteriovenous fistula involving interlobar branch
Fig. 2
Lower pole with early opacification of the left renal vein.
시술방법 및 재료
5F Pigtail 카테터(Cook, Bloominton, IN, U.S.A.)로 복부대동맥 조영술은 시행하고, 다시 5F Cobra 카테터로 좌측 신동맥을 선택하여 좌신동맥 혈관조영술을 시행하여 좌측 신장의 아래쪽에서 contrast extravasation과 동정맥루를 확인하였다 (Fig. 1, 2). 0.018 안내철사와 3F Microferret catheter(Cook, Bloominton,IN, U.S.A.)를 이용하여 조영제의 혈관외유출과 동정맥루를 초래하는 하엽간동맥을 superselection하고 1.0cm long, straight microcoil(Cook, Bloominton, IN, U.S.A) 2개를 사용하여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이후 시행한 혈관조영술상 조영제의 혈관외유출과 동정맥루는 더이상 보이지 않았다 (Fig. 3, 4).
Fig. 3
Angiogram obtained after microcoil embolization shows no more extravasation of contrast media and occlusion of the arteriovenous fistula.
Fig. 4
Angiogram obtained after microcoil embolization shows no more extravasation of contrast media and occlusion of the arteriovenous fistula.
고찰
신혈관 손상에 의한 출혈은 신생검, 경피적 신루설치술 등에 의해 생기는 의인성 출혈이 약 50%를 차지한다. 이 경우에 동정맥루를 흔히 동반한다. 특히 신생검 후 16%이상에서 동정맥루는 합병되고, 80%에서는 몇 주에서 몇 개월내에 자연적으로 폐쇄되지만 동정맥루가 커져서 이차적으로 심한 혈뇨, 저혈압, 또는 심장의 대상성기능장애(decompensation) 등을 초래할 수 있을 때 중재적 시술의 적응증이 된다. 그러나 신동맥과 그 분지는 모두 단동맥이고 서로 교통이 없기 때문에 occlusion point 이하부위는 조직 경색을 가져오게되므로 색전술은 가능한 선택적으로 해야된다. 색전 후 조직 경색의 정도는 폐색된 혈관의 크기와 수에 의존한다. 동정맥루가 근위부에 위치한 경우 초선택적 색전술이 불가능하고 그 결과 신실질의 손실은 약 20%가 된다. 동정맥루가 말초부위에 위치할때는 동축 미세카테터 기법(coaxial microcatheter techniques)을 사용하여 초선택적색전술을 하여 신실질의 경색을 최소화 한다. 색전물질은 주로 젤폼, 코일등을 사용한다. 적절한 색전치료 기법은 외상 후 발생한 신동정맥루로 인한 증상과 증후를 90%이상 완전하게 소실시킬 수 있다.
본 증례와 같이 말초부위의 작은 혈관의 동정맥루에서 microcoi과 동측 microcatheter technique을 이용한 초선택적 색전술은 색전술 후 합병증으로 올 수 있는 정상 신실질 의 경색을 최소화하여 가능한한 신실질을 보전할 수 있고 신절제술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참고문헌
1. Beaujeux R, Saussine C, Al-Fakir A. Superselective endovascular treatment of renal vascular lesions. J Urol 1995;153:14-7
2. Bookstein JJ, Goldstein HM. Successful management of post biopsy arteriovenous fistula with selective arterial embolization. Radiology 1973;109:535-536
3. deSouza NM, Reidy JF, Koffman CG. Arteriovenous fistulas complicating biopsy of renal allografts: Treatment of beeding with superselective embolization. Am J Roentgenol 1991;156:507-520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