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단어
Kidney, interventional procedune
Kidney, calculi
임상소견
1년전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초음파에서 신결석으로 진단받은 후 결석제거 원하여 입원하였음.
영상소견
KUB에서 왼쪽 신장 하극에 소신배에 1.5cm 직경의 radioopaque 결석으로 진단 (Fig. 1)하였음. 8.5F straight catheter가 결석을 지나 midureter에 위치함 (Fig. 2). 신결석을 제거한뒤 KUB검사에서 residual stone없음 (Fig. 3).
Fig. 1
KUB shows a 1.5cm sized renal stone in low pole of left kidney.
Fig. 2
Percutaneous nephrostomy is done through inferior pole of left kidney
Fig. 3
After lithotripsy, no residual stone is seen with insertion of double J catheter.
시술방법 및 재료
21 G micropuncture needle(Cook, Bloomington, U.S.A.)을 사용하여 왼쪽 신장의 하극 소신배를 천자하고 결석의 아랫면을 통해 유도철사를 통과시킨 후 확장기로 경로를 넓힌 후 8.5F straight catheter를 mid-ureter level에 위치시킴. 수술방으로 이동하여 복와위(prone position)에서 신루설치술 경로를 통해 Amplatz wire(Meditec, MA, U.S.A.)를 방광까지 넣고 14F 확장기로 넓힌 후 14F peel-away vascular sheath를 collecting system까지 넣음. Ureteroscope를 sheath내로 넣고 소신배내에 있는 결석을 Holmium laser로 결석을 제거함.
고찰
경피적 신결석제거술은 체외충격파쇄석술에 반응없는 결석의 치료에 최선의 방법이다. 이 방법의 단점은 큰 구경의 nephroscope를 사용하기 때문에 출혈이 많고 환자의 고통이 크며 재원일 수가 늘어 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14F sheath와 ureteroscopy을 이용한 mini-PNL이 개발되었음. 1997년 Jackman 등에 의해 소아에서 처음 시도된 이 방법의 적응증은 stone burden(X-선상 결석의 가로와 세 로길이를 곱한 값)이 2cm2 이거나 체외충격파쇄석술에 반응 없는 경우, 하극의 신결석등이다.
투시하에서 결석이 있는 소신배를 천자할 경우 결석의 하후방을 통해 유도철사가 통과하도록 해야 결석의 제거가 가능하고, 조직 손상이 덜하며 출혈을 적게 할 수 있어 중요하다. 기존의 24Fr 에서 34Fr 의 sheath를 쓰지 않고 11Fr에서 15Fr의 peelaway sheath를 이용함으로써 또한 위의 문제점을 줄일 수 있다. 비용-효과면에서도 더욱 유리하며 기존의 신결석 제거술과 성공율도 비슷하여 쓰임이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1. Puppo P. Percutaneous nephrolithotripsy. Curr Opin Urol.1999 Jul;9(4):325-8. Review
2. Jackman SV, Docimo SG, Cadeddu et al. The “mini-perc”technique: a less invasive alternative percutaneous nephrolithotomy. World J Urol. 1998;16(6):371-4
3. Jackman SV, Hedican SP, Peters CA, et al. Percutaneous nephrolithotomy in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experience with a new technique. Urology. 1998 Oct;52(4):697-701.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