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단어
Urinoma
Kidney, transplantation
Computed tomography(CT), guidance
임상소견
환자는 만성 신부전으로 cadaver donor로부터 신장 이식을 받은지 2개월 후 발열과 배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검사실 소견은 WBC 17,500/mm3, BUN 17.6mg/dl, Cr 0.7mg/dl 이었다.
영상소견
골반강 CT상 우측 장골와 (iliac fossa)에 6×6cm 크기의, 원형의 경계가 좋은 낭성 병변이 보이며, 이 병변에 의해 이식 신은 상 내측으로 밀려있는 소견을 보인다 (Fig. 1).
Fig.1
Pelvis CT scan at level of iliac bone shows a large perirenal urinoma (straight arrows) and anteromedially displaced transplanted kidney (curved arrows). Bladder (B) is opacified with injected contrast medium through urethral catheterization.
시술방법 및 재료
urinoma로의 안전한 접근경로를 확보하기 위해 우측 iliacus muscle에 생리식염수 10cc를 주사하여 근육의 부피를 늘린 후 21 G Chiba needle을 이용하여 urinoma를 천자하였다. 천자 후 100cc 정도의 소변을 흡인한 후 seldinger 기법을 이용하여 8Fr pigtail catheter를 삽입하였다. Pigtail catheter를 통하여 조영제를 주입한 결과, 6cm 크기의 perinephric urinoma가 확인되었다 (Fig. 2). 시술과 관련된 합병증은 없었으며, 환자는 시술 후 5일째 catheter를 통한 소변의 유출이 멈추고 추적 초음파 검사상 urinoma가 소실된 것을 확인하고 pigtail catheter를 제거한 후 퇴원하였다.
Fig. 2
Contrast medium injected through pigtail catheter is seen to outline the urinoma (arrows). Contrast-filled bladder is also seen.
고찰
신이식술 후 합병증으로 일어나는 소변 유출은 대부분 수술 후 2-3주 내에 생기며, ureteroneocystostomy site, 신우, 요관에서 일어난다. 신우와 요관에서 소변 유출의 원인은 수술시 신 주위와 요관 주위의 작은 혈관의 손상에 의한 허혈 때문으로 생각된다. 진단이 늦을수록 이환율, 치사율이 증가하므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골반 내 액체 저류가 있는 경우 CT 유도하 경피적 배액술은 높은 성공율과 낮은 합병증율로 안전한 방법으로 알려져있다. 이 증례의 경우, 이식신의 손상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는 초음파 유도보다는 영상의 질이 뛰어난 CT를 이용한 경피적 배액술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었다. 골반 내 병변을 배액하기 위해서는 주위 장기, 장관, 혈관, 신경손상을 주지 않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iliacus muscle에 생리식염수를 주사하여 근육의 부피를 늘린 후 천자를 시행하는 것이 안전한 접근경로를 확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참고문헌
1. Castaneda-Zuniga WR, Brady TM, Thomas R, eds. Interventional Uroradilogy. In Castaneda-Zuniga WR, eds. Interventional Radiology. 3rd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1997:1049-1354
2. NS Curry, S Cochran, ZL Barbaric, et al. Interventional radiologic procedures in the renal transplant. Radiology 1984;152: 647-653
3. Nakstad P, Kolmannskog F, Kolbenstvedt A, Sodal G. Computed tomography in surgical complications following renal transplantation. J Comput Assist Tomogr 1982;6(2):286-289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