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단어
Stents and prostheses
Esophagus, stenosis or obstruction
Trachea, compression
Bronchi, obstruction
임상소견
식도폐쇄와 하방 기관식도루공(Esophageal atresia with distal tracheoesophageal fistula, TEF)으로 생후 3일에 기관식도루공 결찰술 및 식도문합술을 시행 받은 환아로 수술 후 문합부 협착이 있어 외부병원에서 3회 풍선확장술을 시행 받았으나 계속 재발 되었음. 현재 위루관(gastrostomy tube)으로 영양공급 중임.
진단명
수술 후 식도 문합부 협착. 식도 스텐트에 의한 기도압박으로 인한 급성호흡곤란
영상소견
전신마취 하에 수용성 조영제 (Ultravist 300; Schering, Ansung, Korea)로시행한 식도조영술상 수술 문합부에 심한 국소적 부분협착이 있었다.
시술방법 및 재료
전신마취 하에 8-mm 풍선확장술에서 waist가 사라졌고, 12-mm 풍선확장에서는 waist가 사라지지 않았다 (Fig. 1). 1주일 뒤 5-mm 외경의 스텐트 삽입기를 이용하여 본원 연구실에서 자체 제작한 12-mm/4-cm 스텐트(Polyurethane-covered Retrievable Self-expandable Nitinol Stent)를 식도 수술후 문합부 협착 부위에 삽입하였다. 스텐트 구조는 몸체 부위는 12-mm 직경이고, 스텐트 이동방지를 위해 상 하방에 30°각도로 장개 (frare)시켜 5-mm를 연장 시켰다. 따라서, 스텐트 몸체의 직경은 12-mm이고, 상 하방의 직경은 약 18-mm정도 되었다. 삽입 직후 스텐트는 완전히 펴지지 않았다 (Fig. 2). 1주일 후 급성 호흡곤란이 있어 시행한 기관지 내시경상 기관하방과 우측 주기관지가 심한 외인성 압박을 받고있었다. 호흡곤란으로 기관 삽관 상태였고 스텐트 제거를 위해 시행한 투시검사상 스텐트는 완전히 팽창된 상태였고, 우측 주기관지가 스텐트 하방에 의해 심한 압박을 받고 있었고, 기관 삽관 끝부분에서는 스텐트 상방에의해 압박되어 기관이 꺾여 있었다 (Fig. 3). 즉시 retrieval set (Stentech, Seoul, Korea)으로 제거 하였고 (Fig. 4), 제거 후 식도조영술상 협착부위는 스텐트 삽입 전보다 확장된 상태였고 부종 혹은 육아조직(granulation tissue)로 인한 충만결손들이 보였다 (Fig. 5).
Fig. 1
Dilatation with a balloon catheter of 12-mm diameter and 4-cm length. Notice the “hourglass”deformity of the balloon at the level of the stricture.
Fig. 2
One week after, a 12-mm diameter and 4-cm length esophageal stent was placed in the anastomotic stricture of esophagus.
Fig. 3
One week after stent placement, acute respiratory failure was developed. Fluoroscopy showed extrinsic compression on right mainstem bronchus and kinking of the trachea at the level of both ends of the stent (arrow).
Fig. 4
The stent was retrieved using retrieval set. Drawstring was hooked by retrieval hook, and the proximal stent was collapsed and captured into the retrieval sheath.
Fig. 5
After the stent was removed, barium esophagogram showed significantly dilated anastomotic stricture.
고찰
식도 스텐트 삽입술은 악성 식도 협착에서 주로 시행되어 왔으나 제거가 가능한 스텐트가 개발되면서 양성 협착에서도 최근 많이 시행되고 있다. 드물게 식도파열, 식도 스텐트에 의한 외인성 기도압박으로 치명적인 호흡곤란 등이 보고되어 있다. 본 증례는 14개월 된 유아에서 기관-기관지가 아직 성숙과정에 있고 기도직경이 작아 식도에 삽입된 팽창성 금속 스텐트에 의해 이동방지를 위해 장개시킨 부위에서 직경이 커서 쉽게 압박되어 급성 호흡곤란을 겪었던 경우이다. 응급처치로서, 제거 가능한 스텐트이므로 즉시 retrieval set으로 쉽게 제거 하였고 기관 삽관을 제거할 수 있었다. 성인에서는 보통 16-mm 직경의 식도스텐트를 사용하고 식도기관루가 있으면 18-mm 직경의 스텐트를 사용하게 되는데, 소아 특히 유아에서는 임상적 경험도 부족하고 적당한 크기의 스텐트를 정하기가 어렵다. 본 증례와 같이 유아에서도 풍선확장술이 효과가 없을 때 스텐트 삽입술을 고려할 수 있으므로 기관-기관지가 미성숙 단계에 있음을 고려하여 적당한 크기와 모양의 스텐트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1. Song HY, Park SI, Jung HY, et al. Benign and malignant esophageal strictures: treatment with a polyurethane-covered retrievable expandable metallic stent. Radiology 1997;203:747-752.
2. Song HY, Park SI, Do YS, et al. Expandable metallic stent placement on patients with benign esophageal strictures: results of long-term follow-up. Radiology 1997;203:131-136.
3. Dasgupta A, Jain P, Sandur S, Dolmatch BL, Geisinger MA, Mehta AC. Airway complications of esophageal self-expandable metallic stent. Gastrointest Endosc 1998;47:532-535.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