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심부정맥의 혈전증에 직접적으로 카테터를 이용한 혈전용해술과 스텐트 삽입술 등 정맥에 대한 중재적 방사선시술이 늘고 있고 이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성공적인 정맥질환의 시술을 위해서는 정맥의 해부학적 구조 및 조직학적, 생리학적 특성에 대해서 폭넓은 이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정맥폐쇄 및 혈전증과 같은 정맥질환이 주로 하지정맥에서 많은 빈도를 보이고 해부학적인 관심도 하지정맥에 보다 많이 집중되어 왔으므로 본 원고에서는 하지 정맥의 해부학을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Embrgology and congenital anomaly
1. Development
태아의 주요한 정맥을 통한 피의 흐름은 cardinal vein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는 태아의 두부로부터 배출되는 anterior cardinal vein과 태아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배출되는 posterior cardinal vein으로 구성되며 이 둘은 짧은 common cardinal vein을 통해 연결된다. 태생기 5-7주 사이에 콩팥으로부터 배출되는 subcardinal vein과 하지로부터 배출되는 sacrocardinal vein 및 늑간정맥(intercostal vein)으로부터 피가 모아져 posterior cardinal vein으로 연결되는 supracardinal vein이 형성된다. Anterior card-inal vein 사이의 연결은 후에 left brachio-cephalic vein으로 발달하며 두부와 상지의 왼쪽으로부터 배출되는 피는 오른쪽으로 통하게 되어 결국 상대정맥은 right common cardinal vein과 right anterior cardinal vein의 근위부로 이루어지게 된다(Fig. 1A).
한편 양쪽 subcardinal vein간의 연결은 좌측 신정맥을 통해 이루어지며 left subcardinal vein이 소멸되면서 그 원위부만 남아 left gonadal vein이 된다. 따라서 right subcardinal vein이 주요한 배출경로가 되어 후에 하대정맥의 renal segment로 발달한다. Sacrocardinal vein들간의 연결은 좌측 총장골동맥에 의해 형성되며 right sacrocar-dinal vein은 최종적으로 하대정맥의 sacrocardinal segment가 된다. 하대정맥의 renal segment가 right vitelline vein으로부터 발생한 hepatic segment와 연결되면서 하대정맥은 완성된다(Fig. 1B).
Posterior cardinal vein의 중요 부분이 퇴화되면서 supracardinal vein이 중요성을 갖게 된다. 4번째-8번째 우늑간정맥이 right supracardinal vein으로 배출되면서 posterior cardnial vein과 합쳐져서 기정맥(azygos vein)을 형성하게 되고 4-7번째 좌늑간정맥은 left supracardinal vein으로 들어가게 되며 두 supracardinal vein 간의 연결이 발달한 후 left supracardinal vein은 기정맥으로 배출되어 소위 반기정맥(hemi-azygos vein)이 된다.
2. Congenital anomalies
정상인의 약 1%가 하대정맥 등의 기형을 가지고 있다. 이중 신정맥 아래로 두개의 하대정맥이 있는 경우와 하대정맥이 완전히 없거나 형성부전이 된 경우가 임상적인 중요성을 띤다.두개의 하대정맥은 left sacrocardinal vein이 left subcardinal vein과의 연결이 없어지지 않고 남아있을 때 생기며 그 발생빈도는 약 0.2-3% 가량된다. 이 경우 두 개의 대정맥이 같은 크기일 수 있으나 보통 오른쪽이 대개 더 크다. 좌측 하대정맥은 좌측 신정맥을 통하여 우측 하대정맥으로 배출된다. 하대정맥이 없는 경우는 right subcardinal vein이 간과의 연결이 실패할 때 발생한다. Left sacrocardinal vein이 잔존할 경우 좌하대정맥(left-sided inferior vena cava)이 되는데 약 0.2-0.5% 발생률을 보인다. 좌하대정맥은 좌신정맥으로 배출되어 척추를 가로질러 두부쪽으로는 정상적인 우하대정맥을 통해 이어진다 (Fig. 2A and B).
Right posterior cardinal vein이 잔존할 경우 retroca-val 혹은 retroiliac ureter가 되며 이 경우 요관의 원위부는 하대정맥의 배부(dorsal)에 위치하게 되고 요관조영술상 요관이 내측으로 이동되는 소견을 보인다. 이러한 기형이 있을 경우 요관이 하대정맥에 눌려 요관의 근위부와 pelvocalyceal system이 늘어날 수 있다. 두개의 sacrocardinal vein 간의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좌장골정맥 무형성증이 나타나게 된다.
상대정맥의 기형 중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는 것이 좌상대정맥이 잔존하는 경우인데 정상인의 0.3%, 선천성 심장 기형이 있는 경우 4.3%에서 나타나며 좌심방의 oblique vein을 경유 coronary sinus를 통해 배출된다. 좌상대정맥이 남아있는 경우 혈역동학적으로는 큰 의미가 없으나 이 곳을 통해 카테터를 조작할 때 부정맥이 발생할 수 있다 (Fig. 3).
Fig. 1
Fig. 1. Diagram showing the development of the inferior vena cava, the azygos vein and superior vena cava. (A) In the seventh week. Note the anastomoses which have formed between the subcardinal, the supracardinal, the sacrocardinal and anterior cardinal veins. (B) The venous system at birth. Note the three components of the inferior vena cava.
Fig. 2. A
Fig. 2. (A) Diagram of a double inferior vena cava at lumbar level caused by persistence of the left sacrocardinal vein.
Fig. 2. B
(B) Double inferior vena cava is shown by venography
Fig. 3
Fig. 3. Cardiac veins and left superior vena cava. Course of anomalous persistent left superior vena cava(LSVC) and relationship to the oblique vein of left atrium (OV) are indicated by dashed lines in front view (A) and by solid lines in lateral view (B).
Cs=coronary sinus; GCV=great cardiac vein; SCV=small cardiac vein; MCV=middle cardiac vein; Ao=aorta; RSVC=right superior vena cava; LSIV=left superior intercostal vein.
Structure of veins
1. The Wall
정맥의 벽은 동맥과 마찬가지로 tunica intima, media, adventitia 세 층으로 되어있으나 동맥과의 차이는 동맥에 비하여 근육층이 약하고 elastic tissue가 더 적다는 점이다. 정맥의 media 층은 정맥의 내경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venule에서는 얇고 거의 대부분이 근육으로 이루어진 반면 중간크기의 정맥에서는 elastic fiber를 포함한 두꺼운 결체조직 및 약간의 평활근섬유(smooth muscle fiber)들로 이루어져 있다. 액와정맥, 장골정맥, 대퇴정맥, 쇄골하정맥, 무명정맥 등과 같이 좀더 큰 정맥들은 media 층에 근육이 더욱 적게 분포하며 상,하대정맥은 평활근이 거의 없다. 복재정맥(saphenous vein)에는 이와 반대로 media 층에 많은 양의 평활근이 분포한다.
2. Valves
동맥과는 달리 정맥에는 심장쪽으로 피의 흐름을 향하게 해주는 판막이 있다. 판막의 결체조직으로 강화된 intima가 겹쳐져 구성되며 앞, 뒤로 두개의 leaflet을 가진다. 상, 하대정맥에는 판막이 없으며 신체의 말단부로 갈수록 판막의 수는 많아진다. 상지에서의 정맥혈의 배출은 후원력(vis-atergo: 심장에 의하여 동맥내로 박출된 혈액에 의해 모세혈관에서 정맥으로 전달되는 압력인자)에 의존하므로 상지 정맥에서는 판막이 그다지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으며 하지에서와 같이 calf 혹은 thigh의 근육에 해당하는 근육 또한 팔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비록 상지의 혈전이 하지만큼 판막에 손상을 주는 것은 사실이지만 하지에서와 같이 심각한 후유증은 초래하지 않는다.
이에 반하여 하지에서의 판막은 혈류의 방향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 분포를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Distribution of valves in lower limb vein (Fig. 4)
Common iliac vein-보고자 마다 다르나 약 1-7% 에서 발견된다.
External iliac vein-약 22.2%-22.6%에서 내장골정맥의 입구로부터 약 2cm 원위부에 판막이 위치하며 오른쪽 외장골정맥이 왼쪽보다 3배 가량(right:left=39.6%:14.6%) 의미있게 많았다. 정맥류가 왼쪽에 많은 것도 이러한 이유가 어느 정도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Internal iliac vein-잘 발달된 이첨판이 main trunk의 문부(ostium)에서 약 7.6%에서 존재하고 그 이하에서는 약 2.5%에서 존재한다. 내장골정맥에 비교적 판막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pelvic venous insufficinecy나 vulvar varices가 드물게 나타나는 이유는 이와 같은 질환이 판막부전 뿐 아니라 유전적 기형이나 정맥벽의 collagen 구조의 이상에서 오는 것으로추측되고 있다.
Common femoral vein-약 67-72%에서 존재하며 장복재정맥의 배출구의 상방, 서혜인대의 직하방에 위치한다.
Superficial femoral vein-심부대퇴정맥의 배출구의 직하방에는 90% 이상에서 판막이 존재한다. 그 외에 adductor ring 까지 2-3개의 판막이 더 있을 수 있으며 좌우의 차이는 없다.
Popliteal vein-adductor canal 의 직하방에 있는 판막의 경우 약 96%에서 발견된다. 또한 슬관절주변으로도 대개 2개의 판막이 있는데 이들 판막이 손상될 경우 calf muscle pump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Deep veins of calf-이곳에는 판막이 약 2cm 간격으로 밀집하여 분포한다.
Communicating veins between the superficial and deep veins-다리에서 교상정맥(communicating vein)의 판막은 deep fascia의 심부와 표재부 두개가 존재하는데, 표재정맥에서 심부정맥으로의 피의 흐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심부정맥의 높은 압력은 표재정맥으로의 역류를 막는다. 발에서는 심부정맥과 표재정맥 사이의 피의 흐름이 양 방향 모두 이루어지므로 교상정맥의 판막이 혈역동학적으로 의미 있는 역할을 하지 못한다.
Fig. 4.
Fig. 4. Location and incidence of valves in the inferior vena cava, common iliac vein, external iliac vein, femoral vein and popliteal vein.
Anatomy of lower limb veins
1. The foot vein
발의 정맥은 아래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The superficial dorsal venous arch
The plantar cutaneous arch joining the medial and lateral marginal veins
The deep venous system of the sole (i.e. the lateral and medial plantar veins, which become the posterior tibial veins)
The communicating vein
2. The deep veins of the leg
Lower leg의 심부정맥은 동맥과 함께 주행하는 세 쌍(anterior tibial veins, posterior tibial veins, and peroneal veins)의 정맥들로 이루어져 있다. 각 정맥들은 각각 동맥주변으로 주행하며 서로서로 문합을 이룬다. calf muscle의 정맥은 크고 판막이 없는 자루 모양의 sinusoidal vein과 가늘고 판막이 있는 정맥을 가지고 있는데 전자는 soleal muscle에 많고 후자는 gastrocnemius muscle에 많이 분포한다. calf의 stem vein들은 쌍을 이루며 주행하다가 상부에서 하나의 trunk를 형성하며 결국 슬와정맥을 이루는데 슬관절 윗쪽에서 합쳐질 경우 duplicated popliteal vein이 된다.
3. The deep vein of thigh
표재대퇴정맥은 슬와정맥에서부터 이어져 대퇴골의 아랫쪽 1/3 지점에서 내부로 교차하며 윗쪽으로 주행한다. 성인에서 서혜인대 하방 약 9cm 되는 지점에서 심부대퇴정맥과 합류한다. 슬와정맥의 38%에서는 심부대퇴정맥과 직접 연결되어있다. 슬와정맥, 표재 및 심부대퇴정맥의 정상변이는 자주 관찰할 수 있는데 하나의 표재대퇴정맥 및 슬와정맥을 가지는 경우는 62%이고 나머지 38%는 천공(fenestration)이나 duplication (Fig. 5)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심부정맥혈전증의 빈도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The common femoral vein, internal iliac vein, and external iliac veins
총대퇴동맥은 표재 및 심부대퇴정맥이 합쳐지는 지점부터 시작되어 서혜인대 아래를 통과하면서 외장골정맥이 된다. 서혜인대는 방사선촬영상 나타나지 않으므로 두 정맥간의 경계는 해부학적 지식을 통하여 추론할 수 밖에 없어 정확하지는 않다. 외장골정맥의 주요분지들은 골반의 바닥에서 서로 교통하며 이는 장골정맥 폐쇄시에 주요한 측부통로가 된다. 내장골정맥은 약 27%에서 2cm의 간격을 두고 두개의 분지로 나뉘어 총장골정맥과 합류하고 이때 두 정맥의 직경은 서로 같다. 내장골정맥은 드물게는 하대정맥으로 직접 배출되기도 하고 외장골정맥과의 합류가 정상보다 두부쪽으로 형성되기도 한다.
5. The common iliac veins
총장골정맥은 내장골정맥이 합쳐지는 sacro-iliac joint level에서 시작되며 5번째 요추부의 오른쪽에서 하대정맥으로 들어간다. 우총장골정맥이 하대정맥과 거의 직선을 이루며 주행하는 것과는 달리 좌총장골정맥의 경우는 척추를 횡단하여 하대정맥과는 거의 직각을 이루며 합쳐지게 된다. 이때 좌총장골정맥은 요추골과 우총장골동맥 사이에서 눌리게 되는데 정맥조영술상 약 50%에서 음영결손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과도하게 눌리게 되면 심부정맥혈전증의 원인이 된다.
좌총장골정맥의 천공(fenestration)은 약 2%에서 보고되고 있으며 두 개로 나뉘어진 정맥이 합쳐져서 하대정맥의 기시부로 배출되거나 각각 우총장골정맥과 하대정맥으로 나뉘어서 연결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총장골정맥의 유일한 분지는 상행요정맥(ascending lumbar vein)이며 오른쪽보다는 왼쪽이 더 크다. 이 정맥들은 총장골정맥이나 하대정맥의 아랫쪽이 막힐 경우 주요한 우회로가 된다.
6. The inferior vena cava
하대정맥의 폐쇄시에 가능한 측부순환경로를 다음과 같이 4개의 군으로 나뉜다.
- central channels : lumbo-azygos system, vertebral plexuses, cava above the occlusion
- intermediate channels : gonadal veins, ureteric veins, left renal-azygos system
- portal collaterals : rectal plexus
- extensive superficial routes : superficial epigast-ric, circumplex iliac veins, thoraco-abdominal, lateral thoracic and axillary veins together with superior vena cava
The superficial veins of the lower limb
1. The long saphenous vein
대복재정맥(long saphenous vein)은 발바닥의 내측면의 정맥들이 합쳐지면서 시작되어 내측복사(medial malleolus)의 앞을 거쳐 다리의 전내측면(antero-medial aspect)을 따라 주행하며 점점 뒤쪽으로 이동하다가 경골과 대퇴골의 내측관절융기(medial condyle)의 뒤를 통과한다. 대퇴부에서는 대퇴정맥과의 연결부를 향하여 주행하다가 pubic tubercle 외측의 fossa ovalis로 들어가는데 들어가기 직전에 superficial circumflex iliac, the superficial inferior epigastric and superficial external pudendal vein 등과 함께 합쳐진다.
대복재정맥은 다리에서 여러 개의 분지와 합쳐지는데 그중 중요한 곳이 다리의 뒤쪽에 있는 posterior arch vein으로서 두세 개의 주요한 medial ankle communicating vein들에 의하여 심부정맥과 연결된다. 대퇴부에서 대복재정맥은 postero-medial superficial vein과 antero-lateral superficial vein 두 개의 가지가 fossa ovalis 아래에서 합쳐지는데 이들이 클 경우 대복재정맥과 혼동할 수 있다. 대복재정맥의 duplication은 약 5-27% 정도 보고되고있다.
2. The short saphenous vein
단복재정맥(short saphenous vein)은 발의 dorsal venous arch와 연결되며 lateral malleolus의 뒤, 발의 바깥쪽으로부터 시작된다. 이 정맥은 복사(malleolus) 바로 위에서 하나의 교상정맥과 만나는데 이는 복사 주변의 궤양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단복재정맥은 gastrocnemius muscle 사이의 슬와정맥으로 들어가는데 측면 정맥조영술에서 calf muscle의 표면의 굴곡을 따라 주행하는 것이 잘 나타난다. 대복재정맥과의 연결은 무릎근처에서 이루어지고 대복재정맥과는 달리 duplication은 드물다.
전체 단복재정맥 약 60%에서는 슬관절 8cm 이내의 popliteal fossa에서 슬와정맥과 합류하고 20%에서는 대퇴부의 postero-medial 혹은 anterolateral superficial vein을 경유 대복재정맥과 합쳐지며 나머지는 표재대퇴정맥, 심부표재정맥, 내장골정맥 등과 만난다.
3. The communicating veins
하지의 심부와 표재정맥은 근막에 의해서 분리되며 판막을 가지는 교상정맥(communicating vein)들과 연결되어 표재에서 심부정맥으로 피가 흐르게 된다. 교상정맥은 deep fascia를 뚫고 연결되기 때문에 perforating vein이라고도 한다. 대복재정맥과 단복재정맥의 가장 큰 교상정맥은 심부정맥으로의 termination이나 이는 100개가 넘는 교상정맥의 하나일 뿐이다. 다리에는 medial 및 lateral communicat-ing vein들이 있으며 내측에는 medial malleolus 직하방에 하나가 있고 malleolus 위로는 경골 뒤로 3-4개가 있다. Posterior arch vein과 posterior tibial vein을 연결하는 다리 내측의 교상정맥 들을 Cockett’s vein이라고 부르며 각각 medial malleolus로부터 7cm, 12cm, 15c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슬관절로부터 10cm 아래쪽으로 또 하나의 교상정맥이 존재하는데 대복재정맥의 main trunk와 posterior tibial vein을 연결하며 Boyd’s vein이라고도 한다 (Fig. 6A).
다리 외측면의 교상정맥은 단복재정맥과 peroneal vein을 연결하는데 lateral malleolus 위의 어느 곳에나 있을 수 있으나 5cm과 12cm 상방 두 곳에서는 거의 항상 발견된다. Posterior mid calf communicating vein은 때로 recurrent varicose vein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이들은 단복재정맥과 soleal 혹은 gastrocnemius muscle vein을 연결해준다 (Fig. 6B).
대퇴부에서 대복재정맥과 대퇴정맥간의 연결 중 가장 중요한 것은 Hunter’s canal을 통과하는 Dodd’s vein인데 대복재정맥의 제거술(stripping) 시에 파괴되기 때문에 recurrent varicose vein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Fig. 6A).
Fig. 6.
Fig. 6. Diagram of the clinically important communicating veins of the leg. (A) Medial projection. (B) Posterolateral view.
Anatomy of the upper limb veins
상지의 정맥은 표재와 심부정맥으로 나뉘는데 액와정맥을 통해 단일한 배출구를 갖는다. 표재정맥은 손의 배부에서 외측으로 올라오는 cephalic vein과 내측으로 주행하는 basilic vein이 있다. 주관절 부위에서 이 정맥들은 median cubital vein에 의해 서로 교통하며 견관절 근처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심부정맥으로 들어간다. basilic vein은 상완의 근막을 뚫고 deep brachial vein과 합쳐져 액와정맥이 되며 Cephalic vein은 clavi-pectoral fascia를 뚫고 액와정맥과 합쳐진다. 손바닥의 심부정맥은 요골동맥과 척골동맥을 따라 쌍을 이루며 함께 주행하다가 interosseus vein과 합쳐지면서 한 쌍의 brachial vein이 되고 계속해서 액와정맥, 쇄골하정맥, 상완두정맥(brachio-cephalic vein)이 된다. 좌, 우상완두정맥은 합쳐져 상대정맥을 이루고 상행대동맥의 오른쪽으로 내려가서 3번째 늑연골 위치에서 우심방으로 들어 가게 된다(Fig. 7A and B).
상대정맥의 상부 1/2은 전,후, 우측면이 늑막에 의해 싸여 있고 하부 1/2은 심막(pericardium) 내에 위치하게 되며 심막안으로 들어가기 전에 뒤쪽에서 기정맥과 합류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정맥의 하부에서 혈관확장술을 시행할 때 무리할 경우 temponade와 같은 합병증이 올 수 있다.
액와정맥은 그 정의에 따라 subcapsularis muscle의 아래쪽 면에서 시작되나 혈관조영술 상에서는 볼 수 없으므로 보통 scapula의 바깥쪽 경계에서 시작된다고 알려져 있다. 액와정맥은 첫번째 늑골의 바깥쪽 면에서 끝나 쇄골하정맥이 되고 쇄골하정맥은 sterno-clavicular joint의 뒤에서 내경정맥과 만나 brachio-cephalic vein이 된다. 쇄골하정맥의 판막 중 가장 근위부에 위치하는 것은 내경정맥과 만나는 곳에서 혈관이 각을 이루는데 이곳에 분포한다. 두개의 brachio-cephalic vein 중 왼쪽이 오른쪽에 비해 길이가 길고 둘 다 판막은 가지고 있지 않으며 첫번째 intercostal space에서 만나 상대정맥을 이룬다.
한편, 내경정맥은 한 쌍의 판막을 가지는데 brachiocephalic vein으로 합류하는 곳에서 2.5cm 떨어진 곳에 있다. 이 판막이 있음에도 쇄골하정맥으로 넣은 중심정맥 카테터가 가장 잘 malpositio되는 곳이 이곳이다.
상지정맥의 변이는 비교적 흔하나 하지에서와 같은 primaryvaricose vein은 없다. 때때로 median cubital vein이 커서 cephalic vein으로부터 피의 흐름을 대부분 basilic vein으로 흐르게 하기도 한다.
팔의 심부와 표재정맥은 적은 수의 판막을 가진 교상정맥으로 연결되어 잇는데 그 중 가장 큰 교상정맥은 cubital fossa에 있다. 상지의 정맥피의 흐름은 주로 심장기능에 의존하고 muscle pump가 없기 때문에 판막은 별로 중요한 역할을 하지 못한다. 이러한 상지정맥의 특징은 주로 인간의 직립보행에서 비롯되어지는 것으로 추측되며 따라서 상지정맥에서는 하지정맥 만큼 병리적인 현상들이 나타나지 않는다. 상지에서는 몇 개의 열려 있는 정맥 만으로도 충분한 정맥피의 배출이 용이하고 대부분의 정맥폐쇄는 빠르게 측부혈관이 발달 보상한다. 드물게 상지정맥의 혈전이 판막을 손상시켰을 때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거의 대부분 판막부전(valvular incompetence)은 상지에서 증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The azygos and vertebral venous system
정맥피는 상,하대정맥을 통하여 심장으로 들어가는데 대정맥이 막혔을 경우 주요한 측부순환은 기정맥(azygos vein) 및 척추정맥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기정맥의 시작은 항상 일정하지 않으나 상행요정맥(ascending lumbar vein)이 흉부로 들어오면서 부터라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반기정맥(hemi-azygos vein)도 이와 비슷하게 좌상행요정맥의 흉부에서의 연속인데 정상인의 약 60%에서 좌신정맥은 반기정맥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반기정맥은 9번째 흉추부근에서 척추를 횡단하여 기정맥과 합쳐지며 기정맥은 4번째 흉추부근에서 앞으로 주행하여 상대정맥과 합쳐진다. 기정맥 및 반기정맥은 거의 판막이 없지만 주요분지들이 판막의 기능을 대신한다. 척추의 정맥들은 vertebral canal 안과 밖에서 복잡한 망을 이루여 서로 교통하고 늑간정맥과 intervertebral vein을 통해 상행요정맥으로 배출된다. 대정맥이 발달이 안되었거나 막혔을 경우 기정맥구조 및 vertebral plexus는 주요한 측부순환경로로 작용한다.
Fig. 7.
Fig. 7. (A) Diagram of the superficial veins of the upper limb. (B) Diagram of the deep veins of the upper limb.
참고문헌
1. Browse NL, Burnaud K, Thomas ML. Diseases of the veins: path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1st ed. London : Anorld, Edward, 1988:23-51
2. Basmajian JV. The distribution of valves in the femoral, external, iliac and common iliac veins and their relationship to varicose veins. Surg Gynec Obstet 1952; 95:537-542
3. Powell T, Lynn RB. The valves of the external, iliac, femoral and upper third of the popliteal veins. Surg Gynec Obstet 1951; 92:453-455
4. LePage PA, Villavicencio JL, Gomez ER, Sheridan MN, Rich NM. The valvular anatomy of the iliac venous system and its clinical implications. J Vasc Surg 1991;14:678-683
5. Lotz PR, Seeger JF. Normal variations in iliac venous anatomy. AJR 1982;138:735-738
6. Harman B. Deep vein thrombosis: a perspective on anatomy and venographic analysis. J Thorac Imag 1989;4(4):15-19
7. Shah DM, Chang BB, Leopld PW et al. The anatomy of the greater saphenous venous system. J Vasc Surg 1986;3:273-283
8. Goldman MP, Froneck A. Anatomy and pathophysiology of varicose veins. J Dermatol Surg Oncol 1989;15:138-145
9. Godwin JD, Chen JTT. Thoracic venous anatomy. AJR 1986; 147:674-684
10. Baldrige ED, Canos AJ. Venous anomalies encountered in aortoiliac surgery. Arch Surg 1987;122:1184-1188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