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단어
Bronchi, therapeutic radiology
Pleura, therapeutic radiology
Fistula
임상소견
환자는 교통사고로 하지에 다발성 골절과 뇌에 손상을 입고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중환자실에 입 원 중이던 환자는 67일째 고열과 함께 우하엽에 공동성 병변이 발생하였다. 흉관을 삽입한 후 기계호흡을 시작하자 병변이 커졌으며 기흉이 발생하였다.
진단명
Bronchopleural fistula
영상소견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좌하엽의 기저부에는 작은 크기의 다발성 공동들이 보였고, 좌하엽의 상부로 크기가 큰 공기액체층을 보이는 농양이 있었다 (Fig. 1). 기관 절개를 시행한 부위를 통해서 시행한 기관지조영술에서 전내측 기저분절의 기관지에서 조영제의 누출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2).
시술방법 및 재료
Tracheostomy site를 통해서 0.035 inch guide wire(Terumo corporation, Tokyo, Japan) 유도하에 6 F Cobra catheter(Cook, Bloomington, IN, U.S.A.)를 좌측 주기관지 내부로 삽입하였다. 그 뒤 조영제(Hytrast)를 사용해서 좌하엽 기저분절의 기관지조영을 시행하였다.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각각의 세분절 기관지에 large metallic coil(Cook, Bloominton, IL, U.S.A.) 7개(5 mm×6개, 8 mm ×1개)를 사용해서 occlusion을 시행하였다 (Fig. 3). 그 뒤 다시 코일이 삽입된 기관지에 glue(Histoacryl, Barun)를 주입한 뒤 시술을 마쳤다. 시술 후에 시행한 기관지조영술에서 더 이상의 조영제 누출은 보이지 않았다 (Fig. 4). 그 다음날 시행한 흉부단순촬영에서 좌하엽의 공동성 병변의 크기가 현저하게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5).
고찰
기관지흉막누공은 중심형과 말초형으로 구분된다. 중심형은 주로 수술후에 발생하며 기관지 내시경으로 진단이 용이하고 흔히 수술적 치료가 요구된다. 말초형은 원인이 다양 고 기관지 내시경으로 진단이 불가능하며 여러 치료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특히 농흉후에 생기는 기관지흉막누공은 치료가 어렵다.
기관지흉막누공이 발생하는 환자들은 수술하기에 부적당한 상태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여러 비침습적 방법들이 치료로 사용되고 있는데, 1977년 Hartmann과 Rausch 가 수술후 발생한 말초형 기관지흉막누공을 기관지 내시경과 methylcyanoacrylate를 사용해서 폐쇄하였다. 그 후로 blood clots, gelatin, gelatin capsule-shaped silicon rubber plug, machined brass screw, lead fishing sinker, 다양한 sponge material, tetracycline, fibrin glue cyanoacylate, detachable balloon, metallic coil들을 사용해서 성공적으로 occlusion한 보고들이 있었는데 대부분은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방법들 이었다.
1990년 Christopher 등은 투시하에 balloon catheter를 기관지 내시경내로 삽입한 뒤 coil과 fibrin glue를 주입하여 폐쇄하였다. 이들은 coil이 작은 기관지 자체를 부분적으로 폐쇄시키고 fibrin glue가 부착되는 기질로 작용하며 국소적 염증을 유도한다고 하였다. 2000년 Jain 등도 angiographic catheter와 glue, metallic coil을 사용해서 폐쇄한 예를 보고 하였다.
투시하에 angiographic catheter를 사용해서 기관지흉막누공을 폐쇄하는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비침습적이며 코일 등을 추가해서 영구적 폐쇄를 유도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Jain R, Baijal SS, Phadke RV, Pandey CK, Saraswat VA. Endobronchial closure of a bronchopleural cutaneous fistula using angiography catheters. AJR 2000;175:1646-1648
2. Christopher JS, Ronald BP, Jack LW. Endobronchial vascular occlusion coils for control of a large parenchymal bronchopleural fistula. Chest 1990;98:233-234
3. Hartmann W, Rausch V. New therapeutic application of the fiberoptic bronchoscope. Chest 1977;71:237
Fig 1
Chest radiograph shows a cavitary lesion in the left lower lung zone.
Fig 2
There is a leakage of contrast material in the anteromedial basal segmental bronchus of the left lower lobe (arrows).
Fig 3
We inserted seven large coils and glue into bronchopleural fistulas of left lower lobe by using of angiographic catheter.
Fig 4
Postprocedural bronchography shows complete occlusion of the fistulas.
Fig 5
Chest radiograph obtained post-procedure 1 day shows complete resolution of pneumothorax and decreased size of the cavitary lesion.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