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음파검사는 하지 심부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DVT)의 진단에 기본적인 검사 방법이며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서 정맥의 압박을 이용한 초음파검사는 비침습적이며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인다. 또한 하지 DVT의 진단은 폐색전증이 의심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국소적인 정맥혈전증이 의심되는 경우에도 중요하다. 아래에서 기본적인 정맥의 해부학적 소견과 함께 초음파를 이용한 DVT의 진단 및 소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3).
I. Venous anatomy
하지의 얕은정맥(superfical veins)은 판막을 가진 관통정맥(perforating veins)을 통해 깊은정맥(deep system)으로 흐르게 된다. 종아리(calf)에서 앞경골(anterior tibial), 후경골(posterior tibial), 및 비골(peroneal)정맥 등의 깊은정맥은 이들 동일 이름의 동맥과 동반하는 쌍으로 된 구조물이다. 일반적으로 후경골정맥과 비골정맥은 common trunk를 이루며 앞경골정맥이 이 common trunk에 합류하며 한 개 또는 쌍으로 된 common trunk가 오금정맥(popliteal vein)이 된다. 이 위치는 오금와(popliteal fossa)의 하연(inferior border level)이다 (Fig. 1).
Sural veins은 gastrocnemius veins과 마찬가지로 soleus veins과 sinuses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정맥은 후경골정맥과 비골정맥이 합쳐지는 부위 가까이 또는 common trunk로 유입되며 때로는 오금정맥으로 직접 유입되기도 한다. 오금정맥은 adductor canal로 들어갈 때까지는 오금동맥의 표층에 위치하며 이 부위에서부터 대퇴정맥(super-ficial femoral vein)이 되며 깊은대퇴정맥(deep femoral vein)과 만나 대퇴정맥(common femoral vein)이 된다. 이 부위 바로 상부내측에서 큰복재정맥(greater saphenous vein)이 들어온다. 대퇴정맥은 샅인대(inguinal ligament) 상부에서 바깥장골정맥(external iliac vein)이 되며 속장골정맥(internal iliac vein)과 만나 총장골정맥(common iliac vein)이 된다.
정맥기형은 동맥기형보다 흔하며 가장 흔한 기형은 주요정맥의 이중(duplication) 또는 삼중(triplication) 기형이다(Fig. 2). 심부정맥은 관통정맥처럼 판막(valve)이 있다. 이 판막은 초음파상에서 보일 수 있으며 central, cephalic blood flow를 유도한다. Soleal sinuses는 큰 직경을 가지며 판막이 없다. 그러나 판막이 있는 tributary veins과 연결되어 있다. 깊은대퇴정맥, 큰복재정맥, 대퇴정맥들이 합쳐진 후부터는 판막이 없어 대퇴정맥 상부로 파급된 혈전(thrombu-s)은 장애가 없다. 이러한 해부학적 구조와 함께 몇 가지 주의를 필요로 하는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다 (4, 5).
1. 총장골 및 바깥장골정맥은 이들 혈관의 위치와 더불어 주위 구조물로 인해 일부 환자에서 검사가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이들 정맥을 검사 시 영상의 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들 정맥의 개방성(patency)을 확인하기 위해서 대퇴정맥 부위에서 Doppler flow signal 을 주위깊게 관찰하는 간접적인 방법이 필요할 수도 있다.
2. 깊은대퇴정맥에 국한된 혈전증은 흔치 않으나 폐색전증(pulmonary embolization)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정맥의 근위부를 검사부위에 포함하는 것이 좋다.
3. Adductor canal를 지나는 대퇴정맥의 부위는 직접 검사하기가 어려운 부위임을 이해하여야 한다(Fig. 3).
4. 대퇴부에서 대퇴정맥이 쌍으로 된 기형은 흔한 소견이다. 한 개의 정맥이 막히고 다른 정맥은 정상일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오금정맥 역시 쌍으로 된 것을 흔히 관찰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후경골정맥과 비골 trunks로 일찍 분리된다.
5. 쌍으로된 앞경골, 후경골, 및 비골정맥은 정맥을 구별할 수 있는 표식으로 사용하는 동맥과 동반되어 관찰된다. 동반하는 동맥을 발견할 수 없다면 종아리정맥(calf vein)의 구별이 분명치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동맥이 막혔다면 보이지 않을 수 있다.
6. 정맥사이의 연결채널은 종아리에서 특히 흔히 관찰되는데 이로 인해 측부순환의 가능성이 많다. 이러한 측부순환 때문에 혈류는 혈전으로 막힌 정맥 부위 상부 및 하부에서 정상적으로 관찰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종아리정맥(예를 들어 posterior tibial trunk)의 한 부위에서 정상적인 혈류를 보인다고 해서 동일계통(posterior tibial branches의 하나)내에서 그 밖의 부분의 혈전증을 배제할 수 없다.
7. 측부순환의 가능성 때문에 측부순환로를 원래의 정맥으로 오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 검사시 중요 구조물의 정확한 해부학적 위치를 파악해야 한다(대퇴정맥에서 큰복재정맥의 기시부, 대퇴정맥에서 깊은대퇴정맥의 분지점, 오금정맥에서 후경골 및 비골 trunks의 분지점, 이들 trunks의 분지점등).
Fig. 1.
Fig. 1. Schematic drawing of the venous anatomy of the lower extremity.
Fig. 2.
Fig. 2. Duplication of the superficial femoral vein.
A. The superficial femoral vein shows duplication(arrows) with one superficial femoral artery(open arrow).
B. During compression, one vein is not compressible(arrow).
Fig. 3.
Fig. 3. The superficial femoral artery and vein in the adductor canal.
A, B. Longitudinal and transverse scan of the vessels in the adductor canal show indistinct wall and the echogenicities of the lumens are not diagnostic.
II. 정상 정맥의 특징
1. B-mode appearance
정상 정맥의 내부는 echo-free 하며 정맥 내벽은 부드럽다. 벽 자체는 매우 얇아 보이지 않을 수 있으며 벽이 두꺼워 진 것은 병적소견을 의심할 수 있다 (Fig. 4). Cephalad flow를 유지해 주는 판막은 사지 정맥 내에 많이 존재하며 영상의 질이 좋은 경우 이들 판막이 보일 수 있다. 판막의 sinuses는 첨판(cusps)이 붙어 있는 부위의 넓어진 부위이다. 각 판막을 구성하는 두 개의 첨판은 얇으며 섬세하게 보인다. 첨판은 균형있게 움직이며 판막이 닫혔을 때 혈관의 중심에서 겹치게 되며 판막이 열렸을 때 혈관 벽과 평행하게 접히게 된다. 작고 희미한 적혈구의 응결물이 서서히 흐르는 곳에서는 cusps 뒤에서 보일 수 있는데 이러한 응결물은 정맥압박(vein compression)과 함께 쉽게 이동한다. 그러나 이 위치의 혈전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감별이 가능하다.
2. Compressibility
동맥과는 반대로 정맥은 매우 얇은 벽을 가지고 있으며 정맥혈관내의 혈액의 압력으로 내강이 유지된다. 이러한 이유로 정맥은 약간의 외압에 의해 내강이 소실되며 이러한 소견의 관찰은 중요한 진단적 가치가 있다(Fig. 5). 정맥내강내에 혈전이 있다면 인접한 동맥의 형태를 변화시킬 정도의 외압에도 정맥은 허탈(collapse)되지 않는다. 이러한 정맥의 압박정도는 정맥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잘 관찰할 수 있으며 정맥축에 평행한 방향에서는 정맥이 영상축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많다 (6).
3. Size relative to adjacent artery
주요 사지 정맥은 인접한 동맥의 직경보다 약간 크다. 정맥의 직경이 동맥보다 실질적으로 크나 동맥의 직경보다 두 배가 넘는다면 혈전증을 의심해야 한다. 정맥의 크기는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상부정맥폐쇄(proximal venous obstruction)나 정맥혈 역류(venous reflux)로 인한 후방압력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비골정맥은 정상에서도 아주 클 수 있다. 그러므로 정맥의 확장이 혈전증의 진단을 위한 단 하나의 기준은 아니다 (6, 7)
4. Respiratory changes
대퇴정맥(femoral veins)과 같은 큰 정맥의 직경은 심호흡하거나 또는 Valsalva maneuver 시 증가된다. 이러한 호흡과 관련된 변화는 정맥계(venous system)의 검사시 상부의 내강이 유지되어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소견이다.
Fig. 4.
Fig. 4. Longitudinal scan of the superficial femoral vessels. The lumens of vessels are anechoic and the wall of the superficial femoral vein(arrow) is very thin.
Fig. 5.
Fig. 5. Compressibility of the vein.
A. Normal shape of the superficial femoral vein(arrow).
B. During compression, the vein is not seen.
III. 정상 정맥의 Doppler 특성
정상 정맥에서의 혈류는 spontaneous, phasic 하고 Valsalva maneuver와 함께 멈추게 되며 원위부의 압박으로 증가하고 심장방향을 향해 한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8).
1. Spontaneous flow
중간 및 큰정맥에서는 사지(extremity)가 아래를 향하고 있을 시에도 정상적으로 혈류를 관찰할 수 있다 (Fig. 6). Spontaneous flow의 소실은 검사부위나 검사부위의 근위부 또는 원위부의 혈전증에 의해 초래될 수 있다. 그러나 종아리의 경골정맥 분지나 발의 정맥에서는 없을 수 있다.
2. Phasic flow
정상 정맥 혈류는 속도가 정상상태의 조용한 호흡에 반응하여 변하며 이를 phasic flow라 한다 (Fig. 6). 속도의 phasic changes는 color-duplex image, Doppler spectrum display 및 audible signal에서 명백히 관찰된다. Doppler spectrum display 및 audible signal은 color-duplex image보다는 미미한 이상 소견을 평가하는데 유용하다. Phasic pattern이 소실되면 이를 연속성(continuous)이라고 표현하는데 이는 Doppler 검사 부위나 그 상부의 폐쇄를 의미한다. Phasic pattern은 혈류가 작은 측부순환로(collaterals) 또는 재개통된 채널(recannalized channels)을 통해 지나면서 소실된다. 혈류의 차단이 미미하고 불완전한 혈전에 의한 경우에 phasic pattern이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phasic flow pattern이 보인다고 해서 혈전증을 배제할 수 없다.
3. Valsalva response
Valsalva maneuver는 중간 또는 큰 사지정맥에서 혈류를 멈추게 한다. 이러한 반응은 Doppler 검사 부위에서 가슴부위까지 정맥이 개방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Fig. 7). Valsalva response의 정상여부는 spectral display 또는 audible Doppler signal을 통해 알 수 있다. Valsalva maneuver는 특히 장골정맥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을 때 이 정맥의 개통 여부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Valsalva maneu-ver에 대한 비정상적인 반응은 단지 주요 정맥폐쇄 시에만 관찰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혈전이 정맥 내강을 막지 않았다면 정상 반응을 보일 수 있다.
4. Augmentation
Duplex 검사부위 원위부에서의 압박이나 발의 굴전/신전 등의 운동은 정맥 혈류를 증가시킨다. 이때 관찰되는 혈류의 분출은 Doppler shift에서 급작스러운 증가로 기록되고 Doppler signal의 세기를 증가시킨다 (Fig. 8). 이러한 반응은 정맥 압박 부위와 검사부위 사이 정맥의 개통을 나타내는 것이다. 반대로 이러한 반응의 소실은 그 사이 정맥의 폐쇄를 의미한다. 원위부 압박시 지연되거나 약한 혈류의 증강 또한 원위부 폐쇄(불완전 폐쇄 또는 측부순환에 의한)의 한 소견이다.
5. Unidirectional flow
정상적인 정맥계에서 피는 많은 판막이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막기 때문에 단지 심장을 향해 흐르게 된다. 판막 기능의 이상은 Valsalva maneuver 또는 검사부위 상방에서 압박시 혈류가 역류하면 진단할 수 있다.
Fig. 6.
Fig. 6. Spontaneous and phasic flow in the superficial femoral vein.
Fig. 7.
Fig. 7. Valsalva response of the superficial femoral vein.
A. The superficial femoral vein shows spontaneous and phasic flow.
B. During Valvalva maneuver, the vein shows no evidence of flow.
Fig. 8.
Fig. 8. Augmentation of the vein.
A. Paired posterior tibial veins(arrows) show spontaneous flow.
B. Manual compression of the extremity distal to the site of examination augments venous flow.
IV. Epidemiology and pathophysiology of venous thromboembolic disease
심부정맥혈전증의 위험 요소중 과거력이 중요하며 재발은 전에 진단받은 환자의 10-15%에서 관찰된다. 다른 위험 요소로는 장기간 누워 있거나, 신경손상, 수술후, 외상, 악성양, 임신, 피임약 복용 등이 있다. 대부분의 혈전은 종아리정맥에서 시작하며 가장 흔한 부위는 soleus, gastrocnemius와 후경골정맥이며 그 다음으로 비골정맥에서 흔하다. 그러나 근위 대퇴부나 서혜부에서 시작하기도 한다 (9). 혈전의 약 40%는 저절로 용해되고, 40 %는 진행없이 국소적으로 조직화(organization)되며 20%는 상부로 진행된다. 장골정맥과 상부대퇴정맥에 국한된 혈전은 하지 DVT 환자의 10% 미만이다. DVT에 의한 동통, 종창, 및 불쾌감등은 Baker’s cyst, cellulitis, postphlebitic syndrome 등에서도 관찰되며 Homans sign(discomfort in the calf on forced dorsiflexion)이 매우 정확한 징후라고 알려져 있으나 DVT 환자의 1/3 내지 1/2 정도에서만 관찰된다. 표층 정맥의 혈전과 관련된 palpable cord는 단지 표층정맥염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으로 DVT와 관련 없을 수도 있다.
혈전의 형성은 혈류정지, 혈관내막손상, 혈액응고계의 상태 등이 관여하며 정맥손상, 이전 DVT에 의한 정맥비후, 및 정맥분지 부위 또는 판막 근처 sinuses 등에서 시작된다. 급성 혈전은 정맥 내강의 확장을 초래하며 혈전이 중심으로 파급되면서 오래된 부분은 성숙(maturation)된다. 성숙 전 혈전은 기시부에서 느슨하게 붙어있으며 첫 주에 넓은 부위로 퍼지고 곧 이어 혈전의 수축이 시작된다. Histiocytes가 혈전을 침범하고, 내막화(endothelialization)가 진행되며 혈전에 의해 막힌 경우 중심부 혈전의 용해가 일어날 수 있고 재소통(recanalization)된다. 정맥 손상에 의한 혈소판 응집은 사지의 외상후 또는 상지의 catheter 삽입 후를 제외하고는 드물며 하지에서는 혈류 정지가 혈소판의 응집을 초래하는 주요 요소이다 (10).
종아리에서 혈류 정지는 근육의 수축에 의해 방지된다. 특히 서 있을 때 움직이는 행위는 근막구역 내의 근육이 수축, 이완하면서 피를 중력 반대 방향으로 미는 힘을 만들게 된다. 종아리의 활동저하와 정지는 피를 저장시키는 효과를 초래하여 혈전 발생을 증가시킨다. 정맥벽은 tissue plasminogen activator를 생산하고 저장하며 자극에 반응하여 유리시키고 plasminogen activator release의 장애 시 혈전증의 빈도는 증가한다. 나이든 사람에서는 tissue plasminogen activator의 감소가 동반되며 수술 후 환자가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 activity가 감소하고 DVT의 빈도가 증가된다. 수술이나 외상의 경우 조직 손상은 intrinsic 및 extrinsic clott-ing pathways의 활성화를 초래하기도 한다. 혈전의 형성은 판막 sinuses 주위의 정지된 피에서 시작한다. 근육의 수축은 이러한 부위의 작은 혈전이 모이는 것을 막는다. 그러나 병소가 판막의 정상 상피에 남아 파급될 수 있다. 혈전이 충분한 크기에 도달시 혈류는 감소하여 적혈구와 fibrin이 혈전의 표면을 이루게 된다. 혈전의 확장 여부는 혈류의 유지에 달려 있으며 혈전 중에서 free-floating nonocclusive 혈전이 색전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대퇴정맥이나 그 이상의 부위에 있을 때 가능성이 높다. 심각한 폐색전증은 혈전이 대퇴정맥이나 오금정맥으로 파급되지 않는 한 종아리정맥의 혈전이 원인이 되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폐색전증의 약 90%는 하지정맥의 혈전이 원인이다 (6, 8, 11).
V. Position
정맥은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에서 관찰하여야 한다. 대퇴정맥과 오금정맥의 상부는 누운 자세에서, 오금정맥은 다리를 external rotation, abduction(frog-leg position) 한 상태에서 관찰한다. 또는 엎드린 자세에서 약 15도 정도 슬관절을 구부린 상태에서 관찰할 수도 있다.
VI. Diagnostic criteria
1. Direct visualization of the thrombus
신뢰도가 가장 떨어지는 방법이다. 혈전의 에코 정도는 다양하며 바로 형성된 혈전은 anechoic할 수가 있다. 또한 혈류가 느린 경우 정맥 내에서 에코의 증가를 보일 수 있어 혈전으로 오인할 수도 있다.
2. Venous response to the Valsalva maneuver
82 %의 민감도, 80 %의 특이도를 보인다. 그러나 대퇴정맥의 원위부와 오금정맥에서는 알기가 어려우며 환자의 협조가 필요하다.
3. Venous compression
혈전의 진단에 가장 민감도 및 특이도가 높은 소견이다(Fig. 9). 정상 정맥은 약간의 압박에도 허탈(collapse)된다. 압박은 정맥의 장축에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적용해야 하며 이러한 방법은 정맥의 전장에 걸쳐 시행되어야 한다. 압박으로 진단이 어려운 경우 중의 하나는 전에 DVT가 있었던 환자들로 이들 중의 일부는 정맥벽의 비후가 있으며 이런 경우 불완전한 허탈을 보인다. Color Doppler study는 neointima 사이의 flow를 관찰할 수 있으며 이들 neointima는 압박시 정맥내 혈류를 막을 정도로 허탈된다. 골반안이나 종아리 정맥의 경우 color Doppler 정보 없이는 검사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압박하는 방법에 더해 Doppler 정보의 추가가 DVT을 진단하는 능력을 향상시키지는 않으나 color Doppl-er 검사는 혈전의 진단과 특성을 아는 데는 도움이 되며 검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1, 5).
Fig. 9.
Fig. 9. Thrombosis of the one vein in the calf.
A. The transverse scan of the calf shows echogenic material in the one vein(arrow).
B. During compression, the vein is not compressible(arrow).
VII. Color-Duplex characteristics of abnormal veins
1. Acute thrombosis
급성혈전증은 보통 하루내지 2주이내의 혈전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4, 6, 12, 13).
(1) Low echogenicity intraluminal material producing a flow void : 저에코의 flow void 가 정맥 전부 또는 일부를 채우게 되며 며칠내 생긴 경우 anechoic 하게 보일 수 있다(Fig.10). 내강이 혈전으로 채워진 경우에서도 혈전을 통해서나 또는 벽 근처의 미세한 통로를 통해 원위부 압박시 혈류의 증대를 관찰할 수도 있다.
(2) Venous distension : 급성 혈전에 의해서 정맥의 확장이 초래된다. 이러한 소견은 최근에 형성된 혈전과 오래된 혈전을 감별하는데 도움을 준다. 후자의 경우 정맥의 직경은 인접한 동맥과 비슷하거나 작다.
(3) Loss of compressibility : 압박 검사시 허탈되지 않는다. 이러한 소견은 정상 정맥과 혈전으로 채워진 정맥을 감별하는데 중요한 소견이 된다. 정맥의 허탈이 불완전하게 이루어 진다면 부분적인 혈전증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adductor canal에서는 주위 근육에 의해 완전한 압박이 방해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압박이 적당하게 이루어 졌는지는 인접한 동맥을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압력이 동맥의 변형을 초래할 만큼 충분하다면 정맥은 허탈되어야 한다.
(4) Free floating thrombus : 바로 형성된 혈전은 정맥벽에 붙어있지 않고 정맥내에서 떠 있을 수 있다(Fig. 11). 급성혈전을 관찰할 때에는 이러한 것이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불필요한 압박을 하지 않도록 한다. 대개는 1주 이내에 정맥벽에 붙게 된다.
(5) Doppler signal abnormality : 혈전에 의해 막힌 부위 상부정맥이 정상이라면 압박시 혈류의 증대(augmentation)가 없거나 정상보다 강도가 감소한다. 막힌 부위 하부에서는 phasic 하기 보다는 continuous flow pattern을 보이며 Valsalva response는 감소하거나 소실된다. 급성혈전증 환자의 약 반 가까이는 6개월 추적검사에서 정상으로 되며 나머지는 다음과 같은 만성소견을 보인다. ① focal mural abnormalities ② diffuse mural abnormalites ③ complete venous occlusion with the development of collaterals, 또는 ④ a normal appearance, but with incompetent valves. 이들 환자의 10-15 %는 재발하게 된다.
2. Subacute thrombosis
수주 지속된 혈전증을 의미하며 급성 혈전증 때 보이는 소견이 일부 관찰될 수 있으나 혈전이 수축하고 용해되면서 다음과 같은 소견을 보인다 (4) (Fig. 12).
(1) Increased echogenicity : 혈전이 점차 에코가 증가하게 보이게. 에코의 변화는 점차적으로 진행되나 에코 변화의 정도로 정확한 혈전의 age를 결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른 에코의 변화는 급성, 아급성, 및 만성혈전을 감별하는데 도움이 된다.
(2) Decreased thrombus size : 혈전의 수축 및 용해는 혈전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3) Reduced vein size : 혈전의 수축과 용해는 정맥을 정상 직경으로 회복시킨다.
(4) Adherence of thrombus : 부유하던 혈전은 정맥벽에 붙게 된다.
(5) Resumption of flow : 혈전의 수축, 용해와 함께 막혔던 부분이 감소한다. 그러나 모든 혈전으로 채워진 혈관이 재개통되지는 않는다. 일부는 영구히 막힌 상태로 남을 수 있다.
3. Chronic thrombosis
만성정맥혈전증은 수 개월에서 수년에 걸친 변화를 의미한다. 이 기간동안 자연적으로나 치료 효과에 의해 용해되지 않은 혈전은 fibroblast가 침착되어 fibrous tissue로 변하게 된다 (4).
(1) Echogenic intraluminal material : 정맥혈전의 조직화된 남은 부분은 현저히 에코가 증가된다. 이런 혈전은 정맥 벽의 국소적인 또는 미만성 비후로 관찰된다. 정맥내강의 재개통되지 않는다면 echogenic cord 형태로 관찰된다. 만성혈전증을 보이는 정맥은 정상보다 작은 직경을 보이며 때로는 scarred vein이 초음파상에서 관찰 안될 수도 있다.
(2) Wall irregularity : 오래 지속된 조직화된 혈전은 정맥벽을 불규칙 하게 보이게 한다.
(3) Valve abnormality : 혈전은 판막 근처에서 처음 시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판막의 손상을 흔히 초래한다. 판막의 손상은 첨판의 비후, 정맥벽에 부착되거나 제한된 움직임을 보이게 되며 피의 역류와 정맥을 확장을 초래한다. 정맥내경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고 비틀리는 소견을 보이게 된다.
(4) Flow abnormality : 정맥 역류와 함께 정상적인 혈류소견(spontaenous and phasic flow, augmentation, and Valsalva response)의 소실 내지는 감소를 보이게 된다.
Fig. 10.
Fig. 10. Acute thrombosis in the muscular branch of the gastrocnemius muscle. The thrombus is anechic and the lumen is dilated.
Fig. 11.
Fig. 11. Free floating thrombus in the popliteal vein.
A, B. Longitudinal and transverse scans of the popliteal vein show free floating thrombus(arrow).
Fig. 12.
Fig. 12. Subacute thrombosis in the common femoral vein.
A, B. Longitudinal and transverse scans of the vein show thrombosis(arrow) and echogenicity is partially increased.
VIII. Pitfalls in the diagnosis of deep vein thrombosis
1. Suboptimal image quality
B-mode 또는 color-Doppler image가 적절하지 않는 경우 오진의 가능성이 있다. Image quality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일부는 비만이나 연부조직부종과 같은 초음파 검사자의 영역을 벗어나는 것도 있다. 그러나 많은 요소는 검사자의 조정능력에 좌우된다. 이러한 요소로는 적당한 frequency transducer의 사용, gain settings, 및 vein wall을 정확히 관찰할 수 있는 영상 planes에 관한 지식 등이다. 정맥계 중 일부분은 영상 질이 안 좋을 수 있는데 장골정맥은 bowel gas에 의해 흔히 가리게 되고 대퇴정맥 중 adductor segment는 주위의 두꺼운 근육이나 피하부종 등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종아리정맥은 근육, 부종, 비만, 및 작은 직경의 정맥 등에 인해 제한을 받는다. 영상의 질이 적당하지 않을 때는 color-Doppler image로 개통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2. Compression difficulties
장골정맥은 bowel 과 지방으로 인해 효과적으로 압박하기가 쉽지 않다. 대퇴정맥의 adductor segment와 상부종아리정맥 역시 주위 근육으로 인해 압박이 적절히 되지 않을 수 있다. 압박이 적절히 않을 때 다른 소견을 참고하여야 한다(14).
3. Mistaken identity
심각한 오류는 정맥을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큰복재정맥과 종아리정맥에서 흔하다. 이러한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는 정맥의 해부학적 위치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4. Duplication
예기치 않은 쌍으로 된 정맥 중 하나는 정상이고 다른 하나가 막혀있는 경우 오진할 수 있다. 보이는 정맥의 직경이 정상보다 작다고 생각하는 경우 항상 쌍으로 되어 있는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5. Incorrect description of age of thrombus
초음파의 에코 정도만으로 혈전의 age를 고려할 때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환자의 치료 방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혈전의 age는 환자의 병력과 duplex의 소견을 종합하여 결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6. Chronic thrombosis and recurrent deep venous thrombosis
심부정맥혈전증의 병력이 오래되면 정맥의 비틀림, 측부순환로의 심한 발달, 남아있는 정맥벽의 비후 등이 문제를 초래하여 급성혈전증을 감별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정맥조영술(venography)이 정확한 진단에 유용하다 (1).
7. Improper use of the color-Doppler image
Doppler images의 gain levels이나 민감도가 너무 높거나 낮을 경우 오진의 가능성이 높다.
참고문헌
1. Dupuy DE. Venous US of lower-extremity deep venous thrombosis: when is US insufficient? RadioGraphics 2000;20:1195-2000
2. Cronan JJ, Dorfman GS, Scola FH, Schepps B, Alexander J. Deep venous thrombosis: US assessment using vein compression. Radiology 1987;162:191-194
3. Baud JM, Stephas L, Ribadeau-Dumas C. Short- and medium- term duplex sonography follow-up of deep venous thrombosis of the lower limbs. J Clin Ultrasound 1998;26:7-13
4. Zwiebel WJ, Priest DL. Color duplex sonography of extremity veins. Semin Ultrasound CT MR 1990;11:136-167
5. Foley WD, Middleton WD, Lawson TL, et al. Color Doppler ultrasound imaging of lower-extremity venous disease. AJR 1989;152:371-376
6. Talbot SR. B-mode evaluation of peripheral veins. Semin Ultrasound CT MR 1988;9:295-319
7. Hertzberg BS, Kliewer MA, DeLong DM, Lalouche KJ, Paulson EK, Carroll BA. Sonographic estimates of vein size in the lower extremities: subjective assessment compared with direct measurement. J Clin Ultrasound 1998;26:113-117
8. Dorfman GS, Cronan JJ. Venous ultrasonography. Radiol Clin North Am 1992;30:879-894
9. Hill SL, Holtzman GI, Martin D, Evans P, Toler W, Goad K. The origin of lower extremity deep vein thrombi in acute venous thrombosis. Am J Surg 1997;173:485-490
10. Blum JE, Handmaker H. Role of small-peptide radiopharmaceuticals in the evaluation of deep vein thrombosis. RadioGraphics 2000;20:1187-1193
11. Fraser JD, Anderson DR. Deep venous thrombosis: recent advances and optimal investigation with US. Radiology 1999;211:9-24
12. Polak JF, Culter SS, O’Leary DH. Deep veins of the calf: assessment with color Doppler flow imaging. Radiology 1989;171:481-485
13. Cronan JJ. Venous thromboembolic disease: the role of US. Radiology 1993;186:619-630
14. Puls R, Hosten N, Bock JS, et al. Signal-enhanced color Doppler sonography of deep venous thrombosis in the lower limbs and pelvis. J Ultrasound Med 1999;18:185-190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